-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23] 파고다아케이드의 철거와 탑골공원 성역화
- 2022-08-08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51
- 탑골공원 중수(파고다 아케이드)부터 성역화에 이르기까지의 탑골공원의 변천 <파고다 아케이드가 둘러진 탑골공원의 모습> <민사소송판결에따른대책검토>, 《파고다아케이트관계철(Ⅰ)》, 1982.9.11., 서울특별시 환경국 공원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098222 <파고다아케이드의 철거> 중수사업으로 세워진 파고다 아케이드의 모습입니다. 탑골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파고다 아케이드는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22] 탑골공원의 조성과 중수
- 2022-08-02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74
- 종로 3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탑골공원. 이 공원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시나요? <1969년 탑골공원 모습>, 1969.3.26, 서울특별시 공보실 https://archives.seoul.go.kr/item/902#none <고려시대 ~ 대한제국> 탑골공원에 대해 알기 위해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합니다. 고려시대의 국교는 불교로 도심에 사찰을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 #21] 지하철 1호선의 등장
- 2022-07-27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04
- 해방 직후, 100만 명 수준이던 서울시의 인구는 1960년에는 약 244만 명, 1970년에는 약 553만 명으로 급증하였습니다. 당시 대중교통수단이던 노면전차는 급증하는 서울시민의 발이 되기에는 작고, 낡고 느렸기에 1968년 12월 1일 0시를 기준으로 역사 속으로 퇴장하였습니다. 이후 버스와 택시로는 인구증가를 감당하기 역부족이었고 서울 시내는 수많은 버스와 택시가 얽혀 교통혼잡이 일상이었습니다. 〈1967년 10월 서울시내 교통현황〉, 1967. 10. 1., 서울특별시 공보실. https://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20] 그린벨트 시리즈 #3 그린벨트 해제준비기
- 2022-07-21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20
- # 해제 준비기의 시작 1997년 7월 2일, 김대중 대통령 후보는 서울상공회의소에서 ‘그린벨트’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우리나라는 남한만해도 전체 면적의 60%가 산이라 더 이상 그린벨트가 필요한지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해 봐야 하며, 평가결과에 따라 필요 없는 지역은 해제하고 필요한 지역은 그린벨트로 묶되 국가가 지가증권을 발행해서 사들여야 한다.”* *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변천과정」, 류경진, 국토, 2021 이후 김대중 대통령 후보가 당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19] 남산서울타워 입장료 사건
- 2022-06-29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64
- 기록물을 보면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남산 서울타워에 얽힌 입장료 사건을 기록물을 통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공개요청에대한회신>, 《남산탑공개관계철》, 서울특별시 환경국 공원과, 1983.6.4. https://archives.seoul.go.kr/item/1098271 1980년 개장 당시의 리플릿에 수록된 남산타워 전경 남산서울타워는 1975년 전파의 혼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 전파탑의 목적으로 준공하였습니다. 준공 후 안보상의 이유로 일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18] 그린벨트 시리즈#2 그린벨트 유지기
- 2022-06-22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63
-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방지하고 자연환경 보존을 위해 지정된 것으로 이의 해제는 불가하며 동구역은 건물의 신축 등 신규개발은 제한하나 기존 주택은 존치함과 ···” 〈민원사안처리요청〉, 《개발제한구역》,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1984. 2. 21. 위의 문구는 70년대 초 그린벨트가 지정된 이후, 개발제한구역이 어떠한 방식으로 관리·감독되었는지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기록의 문구입니다. 『그린벨트: 개발제한구역연구』는 80년대부터 97년
-
포스트
- 포스트
- [소장기록 이야기#17] 그린벨트 시리즈 #1
- 2022-06-13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56
- “수도인구집중억제책의 일환으로 서울시의 편면적인 과대발전을 억제하기 위하여도 도시계획구역계를 따라 최대폭원 6km 최소폭원 1km로 하여 녹지대(Green Belt)를 설정코자함” 〈도시계획위원회제4차회의심의안〉, 《고시(개발제한구역지정)》, 1970-06-3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그린벨트는 개발제한구역이란 용어로도 통용됩니다. 도시 주변을 띠 모양으로 둘러싼 녹지대를 의미하는 그린벨트는 도시팽창 및 도시인구증가 억제, 도시 주변 환경보호, 군사적 목적 등으로 지정되는
-
포스트
- 포스트
- [2021년 멀티미디어 기록물 디지털화 사업] 서울의 영상기록 공개
- 2022-03-07 | hislucky@seoul.go.kr| 조회수 : 170
- 서울기록원은 2019년 개원 이후 지금까지 서울시와 TBS교통방송에서 생산한 중요 시청각 기록물 약34,622점을 이관받아 보존하고 있습니다. 이관 기록물들은 훼손 상태, 가치 중요도, 활용 가능성 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여 매년 순차적으로 보존처리 및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90년대 목동 신시가지 개발 관련 사진/필름과 서울시 본청 및 TBS교통방송에서 이관받은 영상기록 중 일부를 대상으로 디지털화를 진행하였습니다. ※ 사업명: 「멀티미디어 기록물 디지털화 사
-
포스트
- 포스트
- [전시 기록 이야기 #17] 서울시 행정구역 변화와 구의 순위
- 2022-02-21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85
- 2019년 11월에 소개해드렸던 〈구의 순위 결정에 관한 건〉을 기억하시나요? (https://archives.seoul.go.kr/post/378) 1955년에 서울특별시 자치구의 순위를 결정하고 그 이유를 설명한 문서였는데요. 일제강점기의 관례에 따랐던 기존의 순위 대신 각 구의 역사적・지리적 특성과 주민의 분포 등을 고려하여 구의 순위를 정하고, 각 기관에서 그 순위를 통일해 사용함으로써 행정상의 체계를 세우고자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당시 순위가 결정된 구는 ①종로구, ②중구, ③동대문구, ④성동구, ⑤성
-
포스트
- 포스트
- [전시 기록 이야기 #16] 추억 속의 한강
- 2022-02-14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83
- 1982년 10월 4일 《서울시보(서울시민신문)》는 지면 하나를 통째로 할애하여 한강의 옛 추억을 나누었습니다. 9월 28일에 있었던 한강종합개발 기공식 소식을 전하며 특집기사를 기획한 것입니다. “어제의 한강을 되돌아 본다”, “서울의 맥 ‘한강’은 흐른다”, “강변 명승 많기로는 한국 제일”, “여름에 수영, 겨울엔 스케이팅 선상서 술잔 기울이는 낭만도” 등 한강의 특성을 보여주는 타이틀과 옛 한강의 모습이 담긴 사진
-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