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 2021년 기록물 복원처리 사업
- 2022-04-08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86
- 지난 포스팅에서는 2020년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처리 사업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렸는데요. 이번에는 2021년 진행되었던 복원처리 및 영인본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 과정과 몇 가지 흥미로웠던 점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2021년 기록물 복원처리 사업을 통해 ≪용도지역변경고시≫를 포함한 총 10건, A4 사이즈 기준으로는 약 1500장에 달하는 기록물을 복원하였고, 2020년 복원이 완료된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중 가로망(변경)도의 영인본도 함께 제작되었습니다.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1 2020년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처리
- 2022-02-25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99
- 2020년 서울기록원은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를 비롯한 총 7건의 기록물을 복원하였습니다. 당시 작업을 진행하면서 흥미로운 점이나 굵직굵직한 작업에 관하여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2022년에 진행될 새로운 복원 사업에 앞서, 기존에 보여드리지 못했던 사진이나 작업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01.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처리 전 표지(좌) / 서울특별시가로망(변경)도 (우)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년 제4차 기록물공개심의회 심의결과
- 2021-12-31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76
- 지난 12월 16일 2021년 제4차 기록물공개심의회를 개최하여 두 건의 안건을 심의하였습니다. 첫 번째 안건은, 30년 경과 감사기록의 공개범위입니다. 주요 기록은 감사계획서 및 감사결과처분요구서를 비롯하여, 감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술서,경위서 등의 기록, 관련 대장류 등이 있습니다. 감사결과를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공공감사에 관한 법률」 제26조 및 공공기록물법 상 30년 공개원칙에 의해 개인정보를 제외하고는 공개하여야 하나, 구체적으로 어느 범위까지를 개인정보로 보고 비공개할 것인지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 : 사업 완료
- 2021-12-23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82
- 12월을 끝으로 2021년 서울기록원의 기록물 복원 사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기록원에서는 2020년을 시작으로 손상이 심한 기록물을 대상으로 복원처리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를 포함한 총 7건의 기록물을, 올해는《용도지역변경고시》를 포함한 총 10건의 기록물을 복원하였습니다. 올해 복원 처리된 기록물 중에는 1960년대 서울의 녹지대 지정과 관련된 기록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도면에는 서울을 넓게 둘러싸고 있는 녹지대의 모습이 남아있어서 지금과는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서울기록원 기록열람실 열람형 전시 현황
- 2021-10-29 | jhmj124@seoul.go.kr| 조회수 : 122
- 기록열람실에서는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의 기록을 직접 살펴볼 수 있는 열람형 전시를 진행 중입니다. 2019년 개원부터 2021년 말 현재까지 진행된 열람형 전시의 현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동 기록물 및 은평 마을자료 ‣ 전시 기간: 2019.5.15(수)~2019.8.15(목) ‣ 전시 기록물 - 목동: 목동지구 관련 사업문서 및 팸플릿, 목동지구 설계도면, 디자인, 항공사진, 준공사진 - 은평 마을자료: 은평 마을 관련 사회, 복지, 문학, 역사 등에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년 제3차 기록물공개심의회 심의결과
- 2021-10-13 | records4u@seoul.go.kr| 조회수 : 106
- 지난 9월 15일 2021년 제3차 기록물 공개심의회를 개최하여 네 건의 안건을 심의하였습니다. 첫 번째 안건은, 농지분배 관련 지적기록의 공개범위입니다. 1949년 제정된 농지개혁법에 의한 농지분배 업무 처리 과정에서 생산·접수된 기록물로서, 토지소유권 및 보상관계 확인을 위해 현재까지도 열람수요가 지속되고 있는 기록이며, 기록 내에 토지소유자·경작자의 성명, 주소 등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특성에 따라 기록물공개심의회에서는 정보공개법 제9조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 :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영인본 제작
- 2021-09-14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22
- 1952년 건설국 도시계획과에서 생산된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가 2021년 영인본 제작 대상 기록물로 선정되어 현재 작업 중에 있습니다.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1952, 건설국 도시계획과, 0042 《서울특별시도시계획공원계획도》 는 166.8x144.8cm에 이르는 대형 도면으로, 1952년 내무부고시 제23호에 의해 지정된 서울 시내의 도로 및 광장 전체가 표기되어 있는 축척 15,000:1 서울시 전도입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 : 복원처리 영상 촬영
- 2021-08-10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16
- 현재 서울기록원에서는 기록물 복원처리와 함께 관련 영상 촬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현미경 조사, X-ray를 이용한 과학적 분석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해드린 바 있습니다.(https://archives.seoul.go.kr/post/1620) 오늘은 현재 복원 작업과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복원처리 영상 제작 관련소식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작년 진행한 기록물 복원처리 사업에서는 1952년 도시계획국 시설계획과에서 생산된 《가로망도》 복원 과정을 촬영하여 서울기록원 공식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 상반기 기록열람서비스 제공 현황
- 2021-08-01 | jhmj124@seoul.go.kr| 조회수 : 155
- 서울기록원에서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 의거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의 열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울기록원은 기관신청, 정보공개청구, 제한적열람으로 나누어 기록열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일반 이용자들은 정보공개청구와 제한적 열람을 통해 서울기록원 소장기록물을 열람하고 제공 받으실 수 있습니다. 2021년의 하반기로 접어든 지금, 상반기 기록열람서비스 제공 현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2021년 상반기 기록열람서비스의 요청 횟수는 총 526회이며 그중 정보공개청구는 13
-
일의 과정
- 일의 과정
- 2021 서울기록원 기록물 복원 : 과학적 조사
- 2021-06-30 | chm1832@citizen.seoul.kr| 조회수 : 117
- 지난 5월 복원작업 소식(복원 방향의 설정 : https://archives.seoul.go.kr/post/1497 )에 이어 최근 진행한 과학적 조사에 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복원 대상물의 특성과 손상 양상이 독특하여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기초적인 사전조사 외의 과학적 조사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이번 복원 작업 중 1962~1969년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에서 생산된《방화지구도시계획결정》에서 은색으로 변색된 기록물이 확인되어, 정확
-
더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