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종합개발이 한창이던 1984년, 서울대교 인근에서 물고기 수백 마리가 떼죽음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개발에 필요한 자갈과 모래를 채취하기 위해 제방을 만들면서 대형 웅덩이가 생겼고, 거기에 인근에서 흘러든 생활하수가 고이면서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
|
|
다행히 이 사건은 제방의 일부를 헐어 오수가 빠져 나가게 하고, 하수는 한강 본류로 빠지도록 하면서 해결된 듯 보였습니다. 시민들은 맑아진 한강에서 낚시를 즐겼고, 언론은 ‘다시 태어난 한강’과 ‘돌아온 물고기’를 찬양하였습니다. 그러나 불과 4년 뒤인 1988년 여름, 또다시 한강 곳곳에서 떼죽음 당한 물고기들이 떠오르기 시작하였고, 한 달 전에 준공된 한강 하류의 수중보가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었습니다. 그리고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많은 환경 단체들은 한강의 생태환경을 보호하려면 수중보를 철거해야한다고 말합니다. 한강의 수중보는 언제 어떤 목적으로 설치되었으며, 왜 문제가 된 것일까요?
|
|
|
한강물고기떼죽음보도에대한조치, 1984.06.28.
|
|
|
수중보란, 강물을 막아 가두기 위해 물속에 설치한 둑입니다. 현재 한강에는 잠실과 김포 두 곳에 수중보가 있는데요. 한강종합개발 사업의 하나로 설치되었습니다. 잠실수중보는 1986년 잠실대교 하단에 세워졌고, 물이 둑 위로 넘치게 하는 고정보, 댐처럼 물을 한꺼번에 뺄 수 있는 수문을 단 가동보, 배가 오르내릴 수 있는 갑문, 물고기가 다니는 어도(魚道)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김포의 신곡수중보는 1988년 행주대교 하류에 있는 백마섬 인근(현재 김포대교 하단)에 세워졌으며, 고정보와 가동보로만 구성되었습니다.
|
|
|
한강을 인공호수로, 《서울시보》 제106호, 1984.12.27. 한강 하류에 수중보 설치, 《서울시보》 제131호, 1985.09.11.
|
|
|
잠실 수중보 건설 기공, 1984.12.26.
|
|
|
한강종합개발 잠실지구 공사현장, 1986.01.24.
|
|
|
서비관리청 하천공사 (하류수중보) 준공인가 신청서 제출, 1988.06.14.
|
|
|
두 개의 수중보는 한강 수위를 2.5m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한강을 ‘인공호수’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한강으로 바닷물이 들어오는 것을 막고, 농업용수와 생활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유람선이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잠실수중보에 설치된 어도는 상류로 이동하는 물고기와 이를 노리는 새들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학습장으로도 활용되며 시민 생활에 즐거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
|
|
어도기능 개선을 위한 대상시설물 현황조사 보고, 2004.11.24.
|
|
|
그러나 수중보는 강물의 흐름을 막아 유속을 느리게 하므로, 강으로 흘러든 폐수가 한곳에 고여 썩어가도록 만들 수도 있습니다. 한강종합개발 이후 물고기가 떼죽음하고 오염물질이 떠다니자 수중보가 원인으로 지목된 이유도 그 때문입니다. 되살아난 줄 알았던 한강이 썩어간다는 것을 알게 된 시민들은 악취로 인한 고통을 호소했고, 환경전문가들과 언론은 이러한 결과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사를 강행한 서울시와 환경청을 질타하였습니다.
|
|
|
기구변동에따른하류수중보처리, 1988.06.08.
|
|
|
결국 서울시는 팔당댐의 방류량을 늘리고 수중보의 갑문을 열어 물의 흐름을 빠르게 만들었으며, 한강의 부유물을 수거하는 대청소를 하고, 안양천 및 난지도 하수처리장에 2차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등 오염된 한강을 되살리기 위한 작업들을 시행하였습니다.
|
|
|
안양천,난지하수처리장방류구위치조정설계용역집행, 1988.12.24.
|
|
|
이러한 노력들을 기울였다고 해서 한강의 자연이 단숨에 회복된 것은 아닙니다. 한강은 그 이후로도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한강 자연성 회복 사업’ 등 다양한 대규모 사업들을 겪었습니다. 한강의 경관은 다시 변화하였고, 일부 지역은 옛 모습을 제법 되찾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아직도 한강에는 수많은 환경 문제가 남아 있고, 시민들의 편의도 완전히 포기할 수 없기 때문에 한강 수중보를 둘러싼 갈등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강, 서울_기억이 흐르다》 전시의 〈개발의 이면〉 파트에서는 한강 수중보 건설 후 불거진 환경오염 문제 관련 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