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 기록
1. 이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
- 이 가이드는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서울시 ‘토지수용재결’ 기록에 대한 구성과, 관련도 서울특별시의 조직·부서 정보와 업무기능, 지역 등의 맥락과 이를 활용한 검색방법 등을 제공한다.
2. 이 가이드가 다루고 있는 기록
정리 · 기술한 소장기록
- 이 가이드에서는 토지수용의 프로세스 중 '토지수용재결' 절차에서 생산된 기록을 다루고 있다.
- 토지수용재결 기록은 토지수용 관련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토지수용위원회에서 재결을 하는 과정 중 생산된 기록이다.

- 토지수용 프로세스의 '토지수용재결' 외 절차별 기록은 다른 시리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사업 지정 : [시리즈 SR136] 교통시설 기록 : 도로계획, 1959-2010
- 토지수용 협의 : [시리즈 SR119879] 도시건설 관련 기록 : 민원, 1959-2003
- 토지수용 재결 : [시리즈 SR119945] 도로건설 기록 : 토지수용재결, 1967-2006
- 이의신청 및 행정소송 제기 : [시리즈 SR119884] 도시건설 기록 : 소송 1959-2003
- 이 가이드에서는 토지수용재결 기록 중에서도 '도시건설' 관련하여 생산된 기록을 다루고 있다.
- 건설.건축분야는 대기능 3개(도시건설, 도시재생, 주택건설)로 구분되는데, 이 가이드에서는 그 중 도시건설 대기능에 해당하는 기록을 다루고 있다.
토지수용재결 기록의 구성
- 건설.건축분야의 대기능인 '도시건설'과 관련하여 토지수용재결 기록 1,000여 개 기록철이 존재하는데, 이를 '도시건설'의 주요 하위기능에 따라 10개의 시리즈로 구성하였다.
- '토지수용재결'은 건설.건축 분야 업무기능에 따라 도시건설, 도시재생, 주택건설이라는 3개의 대기능 아래 각 도로건설, 도시철도건설, 교량건설, 공공공지 건설, 주차장건설, 하천건설, 하수건설, 상수건설, 교통시설건설, 유통공급시설건설, 공공문화체육시설건설, 공공문화체육시설건설, 환경기초시설건설, 보건위생시설건설을 위한 토지수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도시건설 관련) 토지수용재결 기록철의 시기별 변동 (1960년대~2000년대)은 다음과 같다.
- 토지수용재결 기록 시리즈의 경우 대부분 2000년대 생산된 기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2000년대에 비해 1990년대 기록이 더 많이 보존되어 있는 경우는 'SR119944 교량건설 기록 : 토지수용재결'이 유일하다.
- 'SR119946 도시계획시설 건설 기록 : 토지수용재결 '의 경우, 전 시기에 걸쳐 관련 기록이 생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1960년대에는 '도로건설' 관련 토지수용재결 기록이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다 (SR119945 도로건설 기록 : 토지수용재결)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지 않은 기록
정보공개포털 (https://www.open.go.kr/)
- 키워드 검색, 주제검색('주택' 컬렉션 선택), 기관선택(지방자치단체>서울특별시> 하위조직 선택) 방법을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서울정보소통광장 (https://opengov.seoul.go.kr/)
- '더보기>알아두면 유익한 서울시 정보>건설사업정보'에서 2007년부터 생산된 각종 건설사업에 대해 기록을 검색할 수 있다.
- 도로 인프라, 공공 건축물, 도시철도망, 상수도 인프라, 공원 및 휴식공간에 관한 건설사업을 확인 할 수 있다.
- 정부업무기능분류(BRM)를 통해 업무기능 검색으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국가기록원 (http://archives.go.kr)
- 기술계층별 검색에서 '일반행정>서울특별시>건설건축지원'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기록물검색>국정분야 주제별 검색>국토 및 지역개발' 선택 후 제시되는 키워드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다.
e영상역사관 (http://ehistory.go.kr)
- '영상관>분야별 기록영상>건축공학' 선택 후 제시되는 키워드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다.
서울도시계획포털 (http://urban.seoul.go.kr)
- 서울도시계획, 주요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http://data.si.re.kr)
- 건축 정책 연구보고서, 정책결과물 등을 찾을 수 있다.
3. 토지수용재결 관련 조직과 부서
조직/부서 정보에 따른 탐색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1) '조직과 단체' 브라우즈를 선택한다.
- (2) 브라우즈 왼쪽 상단의 검색창에 건설행정과 계열의 부서명을 입력한 후, (3) 해당 조직/단체 전거레코드 선택하여 이동하면 (4) 해당 조직/단체가 생산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토지수용재결 수행 기관인 건축관리국, 도로국,건설국, 건설기획국의 조직변천은 아래와 같다. 이 중 "파란색"으로 표시된 기관이 주로 토지수용재결 관련 기록을 생산하였다. (조직변천의 각 기관을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 페이지로 이동)
4. 토지수용재결 분야 업무기능
업무기능에 따른 탐색
- 시리즈 10개의 관련 업무기능은 아래 표와 같다.
- 해당 업무기능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토지수용재결'을 입력하면 해당 업무기능과 관련된 토지수용재결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 아래 표의 업무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5. 토지수용재결 분야 주제
관련 주제에 따른 탐색
- '토지수용재결 기록' 시리즈에 속한 기록건의 관련 주제는 아래와 같다.
- "도로"와 관련된 토지수용재결 기록이 가장 많이 발견되고 있다.
- 아래 차트의 주제명을 선택하면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토지수용재결'을 입력하면 해당 주제와 관련된 토지수용재결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수용재결 시리즈가 주로 검색된다).
- 아래 차트의 숫자는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기록건의 수를 나타낸다 (기록건과 연결된 빈도가 5개 이하인 주제는 제외)
6. 토지수용재결 분야 지역
지역에 따른 탐색
- '토지수용재결 기록' 시리즈에 속한 기록건의 관련 공간/지역은 아래와 같다.
- 행정구역으로 보면, 서대문구-마포구-성북구 순으로 기록건과의 연결이 많다.
- 행정구역은 자치구 단위로 빈도를 표기하였지만, 실제로는 동단위의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 아래 차트의 공간/지역명을 선택하면 해당 공간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해당 공간/지역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토지수용재결'을 입력하면 해당 공간/지역과 관련된 토지수용재결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수용재결 시리즈가 주로 검색된다).
- 아래 차트의 숫자는 해당 공간/지역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기록건의 수를 나타낸다 (기록건과 연결된 빈도가 5개 이하인 주제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