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록원 검색

교통영향평가 기록

1. 이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

  • 이 가이드는 교통영향평가에 대한 서울기록원 소장기록의 현황과 구성, 관련 서울특별시의 조직/부서 정보와 업무기능, 정책, 공간정보 등의 맥락과 이를 활용한 검색방법, 기타 참고정보원 등을 제공한다.
 

2. 이 가이드가 다루고 있는 기록

정리 · 기술한 소장기록

  • 이 가이드는 1981년부터 2004년까지 생산된 도시건설(공공문화체육시설, 도로건설, 도시철도건설, 보건위행시설, 유통공급시설, 주차장건설 등)과 일반건축(업무시설, 숙박시설, 상업시설 등), 교통영향평가위원회 관련 기록을 주로 다루고 있다.
  • 2019년 서울기록원으로 이관된 청도문서고 소재 비전자기록(종이기록) 5만여 기록철(70만여 기록건) 중, 교통 분야에 해당하는 3천여 기록철에서 교통영향평가와 관련된 16개 시리즈, 2,433개 기록철에 주목하여 가이드가 작성되었다.
 

교통영향평가 기록의 구성

  • 교통영향평가의 적용대상 구분에 따라 총 16개의 시리즈를 구성하였다.
  •  '개발사업' 관련 교통영향평가 기록은 건설.건축분야의 업무기능을 반영하여 시리즈를 구성하였다.
    • 공공공지 건설, 공공문화체육시설 건설, 도로 건설, 도시철도 건설 등 8개 시리즈가 이에 해당한다.
  • '건축물' 관련 교통영향평가 기록은 건축물의 용도별 구분에 따라 시리즈를 구성하였다.
    • 공업시설, 문화체육종교시설, 상업시설, 숙박시설, 업무시설, 자동차관련시설, 일반주택 등 7개 시리즈가 이에 해당한다.
  • 교통영향평가 적용대상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기록은 교통영향평가위원회 기록으로 1개 시리즈를 구성하였다.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지 않은 기록

정보공개포털 (https://www.open.go.kr/)

  • 키워드 검색, 주제검색('교통영향평가' 컬렉션 선택), 기관선택(지방자치단체>서울특별시> 하위조직 선택) 방법을 통해 검색할 수 있다. 

서울정보소통광장 (https://opengov.seoul.go.kr/)

  • 의견조회, 검토요청, 심의의결보완서 처리알림 등 다양한 관련 자료를 확인 할 수 있다.
  • 업무분류체계(BRM)를 통해 업무 기능 검색으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국가기록원 (http://archives.go.kr)

  • 기술계층별 검색에서 '일반행정>서울특별시>건설건축지원'으로 확인할 수 있다.
  • '기록물검색>국정분야 주제별 검색>국토 및 지역개발' 선택 후 제시되는 키워드를 선택하여 검색할 수 있다.

서울정책아카이브 (https://seoulsolution.kr/)

  •  아카이브>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다.
  • 서울시 교통영향평가제도 관련 서울시 교통정책의 변화를 검색할 수 있다.
 

3. 교통영향평가 주요 기록 묶음

  • 교통영향평가 기록의 시기별 변동 (1981-2004)은 다음과 같다
    • 1980년 초반에는 업무시설 건설, 도시계획사업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기록이 압도적으로 많다.
    • 2000년대에는 업무시설 건설, 주택건설, 지구단위계획에 대한 교통영향평가 기록이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4. 교통영향평가 관련 조직과 부서

조직/부서 정보에 따른 탐색

  • ORG-00495 서울특별시 도로국 도로관리과, ORG-00314 서울특별시 교통국 운수제1과, ORG-00288 서울특별시 교통관리실 교통기획과, ORG-00303 서울특별시 교통국 교통계획과

    • 교통영향평가 수행 기관인 교통국(1979-1995), 교통관리국(1996-2002), 교통국(2003-2008), 도로국(1989-1998)의 조직변천은 아래와 같다(조직변천의 각 기관을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 페이지로 이동).

    • 아래 그림 중 "파란색"으로 표시된 기관이 주로 교통영향평가 관련 기록을 생산하였다.

 


5. 교통영향평가 관련 업무기능

업무기능에 따른 탐색

  • 시리즈 16개의 관련 업무기능은 아래 표와 같다.
  • 해당 업무기능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교통영향평가' 또는 '교통수요관리'를 입력하면 해당 업무기능과 관련된 토지수용재결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6. 교통영향평가 관련 주제와 지역

관련 주제에 따른 탐색

  • '교통영향평가기록' 시리즈에 속한 기록건의 관련 주제는 아래와 같다.
  • 아래 차트의 주제명을 선택하면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교통영향평가'를 입력하면 해당 주제와 관련된 교통영향평가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수용재결 시리즈가 주로 검색된다).
  • 아래 차트의 숫자는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기록건의 수를 나타낸다 (기록건과 연결된 빈도가 5개 이하인 주제는 제외)



 

공간/지역 정보에 따른 탐색

  • '교통영향평가 기록' 시리즈에 속한 기록건의 관련 공간/지역은 아래와 같다.
    • 행정구역은 자치구 단위로 빈도를 표기하였지만, 실제로는 동단위의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 아래 차트의 공간/지역명을 선택하면 해당 공간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해당 공간/지역 전거레코드에서 '관련된 기록'을 선택하면 검색결과 페이지로 이동한다. '결과 내 재검색'을 체크 한 후 키워드 '교통영향평가'를 입력하면 해당 공간/지역과 관련된 교통영향평가 기록으로 좁혀 검색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수용재결 시리즈가 주로 검색된다).
  • 아래 차트의 숫자는 해당 공간/지역 전거레코드와 연결된 기록건의 수를 나타낸다 (기록건과 연결된 빈도가 5개 이하인 주제는 제외)




 

| 목차

  1. 이 가이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
  2. 이 가이드가 다루고 있는 기록
  3. 교통영향평가 주요 기록 묶음
  4. 교통영향평가 관련 조직과 부서
  5. 교통영향평가 관련 업무기능
  6. 교통영향평가 관련 주제와 지역
 

| 관련 검색가이드

  • G000 교통분야 기록 
 

| 관리정보

  • 최초작성: 2021. 02. 25.
  • 1차 수정: 2024.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