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
- 기록검색
- 〉
- 검색가이드
- 〉
- [콘텐츠] 우리의 공원 온라인전시_제1섹션
[콘텐츠] 우리의 공원 온라인전시_제1섹션
산에서
|
제1섹션은 국회의사당건립을 위한 토목 공사로 잠시 공원을 폐쇄하는 1959년의 기록으로 시작한다. 산이었던 남산은 조림, 사방공사, 위락·문화시설 등을 갖춘 공원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공원의 경계는 주변 도시와 관계 맺으며 끊임없이 확장과 축소를 거듭한다. 제1섹션에서 산에서 공원이 되는 남산의 변화를 만날 수 있다더보기남산은 서울의 4대산 중 하나로 오랫동안 서울의 상징 역할을 해왔다. 서울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조망점이자 서울 어디에서나 보이는 조망 대상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에 왜성대공원, 한양공원, 장충단공원이 지정되면서 공원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한양공원 자리에 있었던 조선신궁 부지에 이승만 정부는 국회의사당 건립을 추진했다. 공병대가 동원되어 부지 정지까지 했지만 여의도로 부지가 변경되면서 남산공원의 거점 공간이 되었다. 1섹션은 국회의사당건립을 위한 토목 공사로 잠시 공원을 폐쇄하는 1959년의 기록으로 시작한다. 당시 공사계획도에는 조선신궁의 계단과 석축 등이 그대로 남아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962년 이 부지를 대상으로 남산공원 설계 현상공모를 시행해 야외음악당(현 백범광장, 회현자락) 등 공원 문화시설을 조성했다. 공모 서류에 명시된 남산공원의 지향점은 “수도 서울의 유일한 관광지 및 휴양지로 만들기”였다. 1960년대 팔각정과 장충단공원에서 찍은 시민들의 사진 기록에서는 신혼부부의 모습도 발견된다. 남산공원이 서울의 대표 관광지 역할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1967년 기록에는 남산공원 전체의 공원계획이 담겨 있다. 이전의 계획은 회현, 예장, 장충 자락 주변으로 부분적이었다면, 이 계획은 남산 전체의 공간계획과 동선계획을 수립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산이었던 남산은 조림, 사방공사, 위락·문화시설 등을 갖춘 공원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공원의 경계는 주변 도시와 관계 맺으며 끊임없이 확장과 축소를 거듭한다. 제1섹션에서 산에서 공원이 되는 남산의 변화를 만날 수 있다 |
[1]
|
남산공원폐쇄에 관한 공고건(1959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857335] |
||
[2]
|
남산팔각당 주변 식수공사 실시의 건(1959년) 中 식재계획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1089751] |
[3]
남산공원설계 현상
남산 국회의사당 부지에 공원을 조성하기 위한 설계공모 서류로 남산공원의 목표를 “수도 서울의 유일한 관광지 및 휴양지로 만들기 위해” 로 두고 있다.
공모 일정, 상금, 야외음악당의 수용인원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남산공원설계현상모집(1962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861175]
** 사진을 선택하면 큰 화면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
[5]
|
[6]
|
한양공원 주변 조림공사 설계서(1962년) 中 식재계획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1090102] |
후암동-팔각당 노변 조림공사 설계서(1962년) 中 식재계획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1090104] |
장충단공원 시설공사(1964년) 中 장충단공원평문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1090614] |
[7]
|
남산공원 건설계획(1967년) 中 남산계획도로망계획도(위), 남산조성계획도(아래) |
|
[8]
|
[9]
|
[13]
녹화전시장 보존
공원의 경관을 위해 조성되었던 녹화전시장을 계속 보존함이 타당하다는 공원관리사업소장의 의견에 따라 이를 1년간 연장한다는 승인 기록이다. 사업계획서 내용 중에 ‘국민식수운동전개’, ‘국토녹화좌담회 개최’, ‘새마을운동 적극참여’와 같은 시대상을 엿볼 수 있는 항목이 눈에 띈다. 도면에 표현된 식물기호도 눈 여겨 볼만 하다
도시공원(남산공원)점용허가연기허가 승인(1980년) 中 식재계획도 [서울기록원 기록건 IT1096837]
인터뷰 |
행방촌 토박이가 기억하는 50년대 이후 남산더보기
서울의 명물 남산 (박일성, 신흥시장 상가운영회장) 남산에 대한 청년의 기억 (이춘경, 해방촌토박이모임 고문) 피난민이 모여 살던 한국전쟁 이후의 남산을 기억하다 (진기홍, 중구 토박이회 전 회원) 남산국민학교의 기억 (김무일.신현장, 남산국민학교 졸업생 / 석호정 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