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록원 검색

Home
  〉 
서울기록
  〉 
기록이야기
  〉 
[소장기록 이야기 #28] 노량진 수산시장

[소장기록 이야기 #28] 노량진 수산시장

조회수 : 2,665

  서울의 노량진동을 떠올리면 무엇이 가장 먼저 생각날까요? 조선시대에는 노들나루, 현재 지하철과 고속도로가 지나는 교통의 요충지, 수험생으로 가득 찬 학원가와 고시촌, 사육신 역사공원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수산시장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허정 서울시장과 시장단이 서울중앙수산시장을 방문하여 생선이 들어있는 상자들을 바라보고 있다.

〈허정 서울시장, 서울중앙수산시장 시찰〉, 1958. 1. 21., 서울특별시 내무국 공보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784


  사실 노량진 수산시장은 처음부터 노량진에 위치하지 않았습니다. 노량진 수산시장은 1927년 서대문구 의주로에 개장된 ‘경성부(京城府) 수산물 중앙도매시장’을 전신으로 하고 있습니다. 1905년 남대문정거장에 개장한 경성수산시장, 1908년 회현동에 환구(히노마루())수산시장, 1909년 원효로에 용산수산시장의 3개소가 분산되어 존재했지만, 위생과 관리·감독의 이유로 3개의 시장을 통·폐합하여 서대문구 의주로에 경성부 수산물 중앙도매시장을 개장하였습니다. 경성부 수산물 중앙도매시장은 서울 시내에서만 매일 500여 만원의 매상을 올리며 수산물 거래에 활발한 장이 되었습니다.
 

용산 유통센터외4개시장 상업지역설정 서류. 서울특별시도시계획위원회결의안건. 서울특별시.1910.2. 1.결의주문.용산유통센터외 4개시장에 대한 상업지역 설정과 이에따른 용도지역 변경에 관한 부의안건에 대하여 결의한 내용을 담은 문서. 유통센터의 위치와 면적, 용도지역 변경조서가 정리되어있다. 영등포 유통센터의 심의안. 으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노량진동에 위치한 유통센터의 면적, 명칭, 현황과 상업지역으로 설정하는 이유, 토지소유관계, 기타 법령에 의하여 결정된 사항에 대하여 적혀있다.

〈도시계획위원회심의안(제2차)〉, 《심의안및회의록》, 1970. 3. 2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1508



1970년 4월. 도시계획위원회 제 3차회의 심의안 표지.도시계획 위원회에서 용산유통센타 외 4개시장의 상업지역 설정에 대해 논의한 회의록.

〈도시계획위원회제3차회의심의안〉, 《고시(개발제한구역지정)》, 1970. 4. 3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1553


  1960년대에는 기존의 크고 작은 시장을 통합하여 농수산물별 중앙도매시장·유통센터를 개설할 것이 논의되었습니다. 시장 개설은 특정 지역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유통 물품과 시장 위치, 추후 시장의 기능을 고려하여 기존의 시장과 상가건물을 최대한 활용하고 지역 명물화를 꾀하는 방향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영등포 유통센타 용도지역변경고시. 1.도매시장 위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노량진동 13. 2.명칭, 서울특별시 중앙도대시장 한국냉장 주식회사 중앙시장. 3, 총면적 25,000평. 4. 지역현황 등이 적혀있다.

〈중앙도매시장의도시계획상지역설정〉, 《용도지역변경고시》, 1970. 2. 2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2309


중앙도매시장의 위치가 붉은 점으로 표시된 지도.

〈서울도시계획재정비결정(용도지역,가로망)[사본]〉, 《용도지역변경고시》, 1971. 5. 8.,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2307

 
  논의를 거쳐 농수산물 유통센터·도매시장으로 결정된 지역은 용산, 마장, 용두, 그리고 노량진이었습니다. 특히 역사적으로 노량진 일대는 한강의 수많은 하천, 즉 경강(京江)을 따라 시장이 조성되기 적합한 환경이었고 노들나루는 시장조성에 중요한 교통중심지 중 하나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현대에는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인구 동태 등을 감안, 전국유통 중심지에 위치(경인, 경부, 경호, 영동고속도로 중심지)’한 지리적 특징을 근거로 수산시장의 위치를 지정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중앙도매시장 영등포분장 개설 허가 및 업무대행 허가. 서울특별시장을 개설자로 하여, 중앙도매시장 영등포분장의 개설과 업무 대행 허가를 내린 문서. 허가조건과 개시기일, 시장의 취급품종이나 업무대행자(한국냉장주식회사 대표이사 정택수)가 적혀있다.    서울특별시 중앙도매시장 영등포분장 도매업무 대행 및 시설물 사용 대차 계약 체결 기안문. 영등포분장이 개설허가 및 대행허가를 받은 후 한냉 정택수와 서울특별시간의 도매업무 대행, 시설물 무상대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공문.

① 〈서울특별시 중앙도매시장 영등포 분장 개설 및 동 업무 대행 허가〉, 《농수산물도매시장계약서》, 1970. 12. 14., 산업국 농수산유통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891375
 
② 〈서울특별시 중앙도매시장 영등포분장 도매업무대행 및 시설물 사용 대차 계약 체결〉, 《농수산물도매시장계약서》, 1971. 1. 8., 산업국 농수산유통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891376


영등포 유통센터의 조감도
   영등포 분장의 위치, 면적(69829 평방미터)

③ 〈중앙도매시장의도시계획상지역설정〉, 《용도지역변경고시》, 1970. 2. 2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2309
 
④ 〈서울도시계획재정비결정(용도지역,가로망)[사본]〉, 《용도지역변경고시》, 1971. 5. 8.,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12307



노량진 수산시장 건어장의 개장식을 진행하며 관계자들이 테이프 커팅을 진행하고 있다.   노량진 수산시장 건어장 개장식을 진행하며 관계자들이 고사를 지내고 있다.

⑤ 〈노량진 수산시장 건어장 개장식〉, 1975. 6. 2., 서울특별시 문화공보실.
https://archives.seoul.go.kr/item/559


농수산물 도매시장(서울청과 및 서울수산) 이전공고 공문. 서대문구 의주로 소재 농수산물 도매시장 수산부류 및 청과물부류를 수산은 노량진 소재로, 청과는 용산구 소재로 이전하고자 하는 공문.

⑥ 〈농수산물도매시장(서울청과및서울수산)이전공고〉, 《공고(제164호~제181호)2-1》, 1975. 7. 24., 서울특별시 내무국 시민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880382


  경성수산주식회사, 경성중앙시장도매시장 수산부, 서울수산시장주식회사를 거쳐 1971년에는 한국냉장에서 노량진 수산시장 조성사업을 담당하게 되었고 1971년 당시 영등포구였던 노량진동에 총 69,828 m2의 규모로 들어서게 됩니다. 또한 노량진 수산시장이 들어선 이후 1974년 국무총리 지시 제9호 ‘서울수산도매시장과 서울청과도매시장의 이전조치’와 1975년 노량진 시장 활성화 방침에 의하여 서대문구 의주로에 있던 기존 수산시장은 폐쇄되며 노량진 수산시장으로 상권이 이전되었습니다.
 

노량진 수산시장시설의 증축계획
증축되는 노량진 수산시장의 예상 평면도
〈노량진수산시장시설증축계획〉, 《수도권심의안건철(NO153~)》, 1990. 12. 31.,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국 도시계획과.
https://archives.seoul.go.kr/item/22393


2022년 노량진 수산시장 지도.(국토정보맵)


2022년 현재 노량진 수산시장.

출처, 활용: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http://map.ngii.go.kr)


  노량진 수산시장은 소비지 최대 수산물 전문 도매시장으로 자리 잡았고 지속적인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2002년 수협중앙회가 수산시장을 인수 하여 현대화 시장 신축계획을 발표하였고 2016년에 개장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기존 수산시장 건물은 철거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참고문헌>

서울역사박물관. 2022. 『노량진: 삶의 환승지대 도시화의 전이지대』. 서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정보소통광장. 2016. 『노량진수산시장 연혁 관련 검토보고』. [online] [cited 2022. 9. 22]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9887616>
이보성. 2016. 『1930년대 경성부 도매시장정책 변화와 鮮魚 유통구조 개편』.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22. 9. 22. 접속]
   (노량진수산시장) <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926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 9. 22. 접속]
   (경성부수산시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7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22. 9. 22. 접속]
   (노량진수산물시장)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85%B8%EB%9F%89%EC%A7%84%EC%88%98%EC%82%B0%EC%8B%9C%EC%9E%A5&ridx=0&tot=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