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기록원 검색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

1. 이 가이드의 목적

  • 이 조사연구가이드는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구성과 검색방법, 기록 축적 맥락, 서울기록원 외 관련 기록 소장 정보 등을 제공한다.


2.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발굴과정


개관

  • 2015년 12월 28일 한일 외교장관 간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이 고조되었지만, 한국에서의 일본군 ‘위안부’ 학술 연구와 외교 대응에서 그 기반이 된 기록들은 일본 정부 및 연구자들에 의해 발간된 일본 소장 기록에만 의지했다. 

  • 이에 2016년부터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피해자의 명예회복 및 인권증진을 도모하고자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이 생산한 일본군 ‘위안부’ 관계 기록들을 수집.관리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 2016년부터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 지속적으로 추진

  • <서울특별시 일제하 일본군위안부피해자 지원조례 (2013.8.1)> 제5조4항에 근거하여 2016년부터 매년 추진되고 있는 사업으로, 일본군 위안부 관계 자료를 발굴하고 관리방안을 수립함으로써 피해자 명예회복과 ‘위안부’ 문제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을 새롭게 정립하고자 한다.

  • 한편, 본 사업은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조성사업과 연계하여 추진되고 있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터' 보기]

Bordered table
구분 주요 사업내용 사업규모
2016년 일본군 '위안부' 사례집 발간 1억
2017년 일본군 '위안부' 영상 첫 발굴 1억 5천
2018년  일본군 '위안부' 학살 영상 추가 발굴, 트릭섬 '위안부' 명부 확인 3억
2019년 3.1운동 100주년 기념 전시 <기록 기억> 개최 3억 3천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 자료 발굴과 조사 수행

  • 2015년 결성된 연구팀은 여성가족부가 공모한 <일본군 ‘위안부’ 국외자료 조사사업>에 공모했지만, 연구팀 수장인 정진성 교수 등이 한일 외교장관 간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에 반대 의견을 표명한 것이 이유가 되어 최종 탈락하였다.

  • 이후, 2016년부터 서울시의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수행하면서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Administration)과 영국 국립문서보관소(TNA, The National Archives of UK), 태국 현지를 방문하여 연합군 자료를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자료를 발굴 조사 하였고, 그 결과 미중 연합군 공문서, 포로 심문자료, 스틸사진, 지도, 동영상 등 가치 있는 자료를 다수 수집하였다. 

  • 미국, 영국 등 해외 내셔널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특히, 영상기록)은 카탈로그와 목록도 제공되지 않아 일일이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야 했다. 연구팀 3인이 전하는 일본군 ‘위안부’ 영상 발굴 스토리  [상세정보 보기]


발굴된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활용

  • 사례집 발간 (2016년)
    피해자 10인의 증언과 함께 미국 및 연합국의 사료, 사진 등 근거자료를 접목해 입체적으로 분석

  • 국제컨퍼런스 <일본군 ‘위안부’ 자료의 현재와 미래 (2018년 2월)> 개최  [상세정보 보기]
    중국 등충에서 학살 후 버려진 '위안부' 피해자 학살영상 최초 공개 (19초 분량)

  • 사례집 발간 <끌려가다, 버려지다, 우리 앞에 서다 - 사진과 자료로 보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 이야기 (총 2권, 2018년 3월)>
    [상세정보 보기]

  • 자료집 발간 <일본군 ‘위안부’ 관계 미국 자료 (총 3권, 2018년 3월)>  [상세정보 보기]

  • 3.1운동 100주년 기념 전시 <기록 기억 :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 (2019년 3월)>  [상세정보 보기]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국제심포지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재현과 증언의 확산 : 어떻게 기억하고 기릴 것인가 (2019년 3월)> 참가  [상세정보 보기]


3.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

 

서울기록원에 기록 기증

  • 서울시와 정진성 연구팀은 발굴된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 2018년부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별도의 시스템 구축이 아니라, 서울기록원으로의 기록 기증과 컬렉션 구축을 통해 수행할 예정이다.

  • 2018년 1차 기증(영상 2건, 사진 32건, 문서 104건 등 총138건)이 이뤄졌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될 계획이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구성

  • 2018년 1차 기증 기록을 중심으로 컬렉션을 구성하였고, 하위에 3개의 시리즈(Series)가 존재한다.

  •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시리즈(Series)-기록철(File Units)-기록건(Item) 구성은 기증 당시 정진성 교수 연구팀이 직접 수행하였고, 각 기술계층의 기술서도 해제 형식으로 연구팀이 직접 작성하였다.

  • 기록을 발굴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Administration)과 영국 국립문서보관소(TNA, The National Archives of UK)의 정리체계를 거의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 기록철(File Units)과 기록건(Item)의 표제는 영어로 기술되어 있다. 이는 기록을 발굴한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 Administration)과 영국 국립문서보관소(TNA, The National Archives of UK)의 카탈로그를 그대로 반영한 결과이다.
     

  •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Bordered table
시리즈 (Series) 기록철 (File Units) 기록건 (Item)

RG7-SR10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영상
1944-1945  

RG7-SR10-FI50 World War II in China, 1944 ~ 1945 1건
RG7-SR10-FI49 Lungling Remains, China, 1944 ~ 1945 1건

RG7-SR9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사진
1939 ~ 1958

RG7-SR9-FI43 General Photographic File of the Department of Navy, 1943 ~ 1958 10건
RG7-SR9-FI48 Signal Corps Photographs of American Military Activity 9건
RG7-SR9-FI46 Photographs of World War II and Post World War II Marine Corps Activities, 1939 ~ 1958 2건
RG7-SR9-FI45 Photographs of Marine Corps Activities taken in the United States and Foreign Countries 1건
RG7-SR9-FI47 Records of Ground Combat Units, Support Units and Other Commands 5건
RG7-SR9-FI44 OWI Information Prints: Allied and Axis, 1942 ~ 1945 4건
RG7-SR9-FI42 General Administrative Files, 1944 ~ 1951 1건

RG7-SR8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문서
1941~1961

RG7-SR9-FI37 Records of Ground Combat Units, Support Units and Other Commands 2건
RG7-SR9-FI17 Regional File, 1922 ~ 1944 1건
RG7-SR9-FI35 Publications Files, 1940 ~ 1945 2건
RG7-SR9-FI29 Interrogation Reports, Directives, and Other Records Relating to Captured Personnel and Material, 1940 ~ 1946 4건
RG7-SR9-FI31 MIS Captured Personnel and Material BranchCountry Files, 1943 ~ 1945 4건
RG7-SR9-FI39 Records of Historian-Psychological Warfare Branch 1건
RG7-SR9-FI38 Records of Historian:Outpost Records, 1942 ~ 1946 7건
RG7-SR9-FI11 All Region Secret File 1건
RG7-SR9-FI19 Reports on Japanese Morale 2건
RG7-SR9-FI28 Intelligence Reports (“Regular” Series), 1941 ~ 1945 1건
RG7-SR9-FI27 Intelligence Reports (“Regular” Series), 1941 ~ 1954 2건
RG7-SR9-FI26 Intelligence Reports (“Regular” Series), 1941 ~ 1960 1건
RG7-SR9-FI25 Intelligence Reports (“Regular” Series), 1941 ~ 1961 5건
RG7-SR9-FI18 Regular Intelligence Reports, 1941 ~ 1945 1건
RG7-SR9-FI24 Intelligence Report(“XL Series”), 1941 ~ 1946 1건
RG7-SR9-FI23 Intelligence Report(“XL Series”), 1941 ~ 1947 4건
RG7-SR9-FI32 OSS History Office 1건
RG7-SR9-FI40 Washington and Field Station Files 4건
RG7-SR9-FI13 Field Station Files 3건
RG7-SR9-FI12 Field Station Files, 1943 ~ 1945RG7-SR9-FI30 Japanese Repatriation Records, 1945 ~ 1946 1건
RG7-SR9-FI30 Japanese Repatriation Records, 1945 ~ 1946 1건
RG7-SR9-FI21 SOPAC Red 179 Intelligence Files 1건
RG7-SR9-FI20 SOPAC Red 179 Intelligence Files, 1942 ~ 1945 4건
RG7-SR9-FI33 Publications (“P”) Files, 1946 ~ 1951 15건
RG7-SR9-FI14 Formerly Security-Classified G-2 Intelligence Library “P” Publications (“P” Files), 1946 ~ 1951 8건
RG7-SR9-FI34 Publications Files, 1950 ~ 1951 4건
RG7-SR9-FI36 Publications Files, 1946 ~ 1951 5건
RG7-SR9-FI41 World War II Operations Reports 1940-1948 Pacific Theater 98-GHQ1-ATIS 1건
RG7-SR9-FI22 Historic Cryptographic Collection, WWⅡ 3건
RG7-SR9-FI15 General Correspondence, 1943 ~ 1945 6건
RG7-SR9-FI16 General Files, 1944 ~ 1945 7건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 주요내용

  • RG7-SR10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영상, 1944-1945 

    • 일본군 ’위안부‘와 중국 소재 위안소와 관계된 영상자료로, 미국 NARA에서 수집한 자료이다.

    • S010/1 영상은 17초로, 7명의 여성이 맨발을 한 채 한 민가의 벽에 붙어 서 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 S010/2 영상은 63초로 2층 건물을 원경으로 포착하면서 중국군 병사들이 물품들을 운반하고 있는 장면을 보여준다. 이 건물은 Grand Hotel로 일본군이 위안소로 사용했던 건물이며, 촬영 당시에는 중국군의 보급창고로 사용되었다.

       

  • RG7-SR9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사진, 1939-958

    • 일본군 ’위안부‘, 위안소, 위안부들이 머물렀던 연합군 포로수용소의 모습을 담은 사진 자료들로 모두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이 생산한 기록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모든 사진을 제공하였다. 

       

  • RG7-SR8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문서, 1941-1961

    • 일본군 ’위안부‘나 위안소를 언급하고 있는 문서들로 모두 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이 생산한 기록이다.

    • 기존의 디지털아카이브는 위안부 및 위안소가 언급된 부분을 중심으로만 서비스하는 반면, 서울기록원은 관련 문서 전체를 연구팀이 제공한 해제와 함께 카탈로그에 반영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대표 기록


RG7-SR9-FI48-IT116 중국 송산의 일본군 ‘위안부’ 1
중국 윈난성 송산(Sung Shan)에서 중국군에 의해 포로로 잡힌 일본군 ‘위안부’ 4명을 찍은 사진이다. 미 육군 164 통신사진중대 소속 햇필드 이병이 1944년 9월 3일 촬영했다. 2000년 12월 도쿄에서 열린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에서 박영심이 사진의 가장 오른쪽에 있는 만삭의 여성이 본인임을 증언해 ‘박영심 사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RG7-SR9-FI48-IT132 중국 송산의 일본군 ‘위안부’ 4
이 사진은 연합군이 포로로 붙잡힌 조선인 ‘위안부’들을 심문하는 장면을 찍은 것이다. 육군 164 통신사진중대 소속 코쿠렉이 1944년 9월 8일 촬영했고, 1946년 7월 15일 공개되었다. 촬영자가 작성한 사진 뒷면의 설명에 따르면 중국군 8군 사령부 일반참모 신카이 대위와 미군 연락팀 빅슬러 병장이 송산에서 포로로 잡은 조선인 여성들을 심문하고 있다.


RG7-SR10-FI50-IT137 World War II in China, 1944
이 영상은 1944년 9월 8일쯤 중국 윈난성 송산에서 미군 164 통신사진중대 소속 병장 페이가 촬영한 18초 분량의 조선인 ‘위안부’들을 담은 것이다. 본 영상을 소장하고 있는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의 설명문에는 ‘중국인 여성들’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햇필드가 촬영한 1944년 9월 3일 두 장의 사진에 등장하는 여성과 동일하다는 점, 관련 문서, 박영심의 증언 등을 교차 분석하면 조선인 ‘위안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원본 제목은 “중국에서의 제2차 세계대전(World War Ⅱ in China)”이며 전체 영상길이는 9분 55초이다.


4. 서울기록원이 소장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검색방법

기록기술 탐색(브라우즈)를 통한 검색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기록기술(Archival description)' 브라우즈를 선택한다.

  • 브라우즈의 왼쪽 검색필터 중 '컬렉션' 항목에서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을 선택하면, 본 컬렉션에 속해 있는 모든 기술계층의 기술서와 기록들을 확인할 수 있다.

 

전거데이터를 통한 검색

  •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은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이 기록발굴과 기록해제 작업을 수행하고,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이 기록발굴 사업을 기획.주관하며, 서울대학교 인권센터가 서울기록원에 해당 기록을 기증하였다. 컬렉션의 발굴과 구성에 기여한 '조직과 단체' 정보를 통해서 관련 기록을 검색할 수 있다.
     

  • ORG-31308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조직과 단체(Organization)' 브라우즈를 선택한 후, 'ORG-31308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을 검색하여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 전거레코드에서 화면 왼쪽바의 '기여한 기록' 항목을 선택하면 관련 기록의 검색결과페이지로 이동하고, 검색필터 '컬렉션'에서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 선택하면 서울대학교 정진성연구팀이 기록발굴과 기록해제에 기여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ORG-01133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실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조직과 단체(Organization)' 브라우즈를 선택한 후, 'ORG-01133 서울특별시 여성가족실'을 검색하여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 전거레코드에서 화면 왼쪽바의 '기여한 기록' 항목을 선택하면 관련 기록의 검색결과페이지로 이동하고, 검색필터 '컬렉션'에서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 선택하면 여성가족정책실이 관련 사업을 주관하면서 컬렉션 구성에 기여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ORG-31309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조직과 단체(Organization)' 브라우즈를 선택한 후, 'ORG-31309 서울대학교 인권센터'을 검색하여 선택하면 해당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 전거레코드에서 화면 왼쪽바의 '기증한 기록' 항목을 선택하면 관련 기록의 검색결과페이지로 이동하고, 검색필터 '컬렉션'에서 "일본군 '위안부' 컬렉션" 선택하면 서울대학교 인권센터가 서울기록원에 기증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TOPIC-00360 일본군 위안부

    • 카탈로그 메인페이지에서 '주제(Topical Subject)' 브라우즈를 선택한 후, 'TOPIC-00360 일본군 위안부'을 검색하여 선택하면 해당 주제 전거레코드로 이동한다.

    • 전거레코드에서 화면 왼쪽바의 '관련된 기록' 항목을 선택하면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고 있거나 주제 측면에서 관련이 있는 전체 소장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핵심 검색어

  • 일본군 '위안부' '송산' '통신사진중대' 'NARA' ‘TNA’ 

    • 서울대 정진성연구팀이 작성한 기록해제문에 위의 단어들이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연구팀이 발굴한 대표적인 기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 ‘World War Ⅱ’ ‘China’ ‘Chinese Girl’ ‘Intelligence’

    • 기록철(File Units)의 경우 연구팀이 기록을 발굴했던 미국 NARA와 영국 TNA의 표제를 그대로 따르고 있기 때문에 영문 표제가 대부분이다.

    • 영문 표제에서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단어들이며, 특히 연구팀이 미국 NARA와 영국 TNA에서 관련 기록을 발굴할 때도 검색어로 활용했던 단어이다.


온라인에서 열람할 수 있는 기록

  • 일본군 ‘위안부’ 기록 컬렉션의 모든 기록은 온라인에서 열람이 가능하며, 원문파일의 다운로드도 가능하다.

  • 서울기록원 카탈로그에서 제공하는 원문파일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이 각 소장처에서 발굴.수집해온 형태 그대로이다.



5. 일본군 '위안부' 기록 관련 서울기록원 서비스

전시

        

행사 및 이벤트

  •  전시연계 세미나  <증거와 기억 사이 : 일본군 '위안부' 관계 연합군 자료 읽기>, 2019년 5월  [상세정보 보기]

  • 설명회  <일본군 ‘위안부’ 디지털아카이브 이용 설명회 – 일본군 ‘위안부’ 기록 읽기, 기억 잇기>, 2019년 10월  [상세정보 보기]



6. 다른 아카이브와 기관에서 찾을 수 있는 일본군 '위안부' 기록


서울특별시 정보소통광장

  •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과 관련하여 2015년 이후 현재까지 생산된 기록

    • 2019년 10월 현재, 생산부서(서울특별시 여성가족정책실)에 소장되어 있으며 조만간 서울특별시기록관으로 이관될 것으로 예상된다.

    • 서울시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을 통해 목록과 기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공개청구도 가능하다.

       

  • 일본군 ‘위안부’ 기록의 발굴・수집과 관련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지원’ 단위과제의 기록

    • 서울시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 메뉴 중 “업무분류”를 선택한 후, 6단계의 분류표를 따라 최하위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지원’ 단위과제를 선택하면 416건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 1단계 정책분야 “사회복지” > 2단계 정책영역 “보육가족 및 여성” > 3단계 대기능 “여성복지” > 4단계 중기능 “여성정책 및 활동지원” > 5단계 소기능 “요보호여성 보호지원” > 6단계 단위과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지원”


국가기록원 

  • ‘AG92/S2 일본군위안부 지원, 1993~1999’ 기록물계열(Series) [[상세정보 가기]

    • 일본군위안부 문제 실무대책, 「일제하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에 근거한 일본군위안부 생활실태조사 및 생활안정지원계획, 일군위안부생활안정지원심의위원회의 심의 관련 사항, 일본군위안부 지원금 시도별 예산 배정, 일본군위안부피해자를 위한 '나눔의 집' 건립 관련 사항, 국외거주 일본군위안부 지원, 일군위안부 실태조사 등 39개 기록철로 구성되어 있다.

       

  • 일본군 위안부 관련 국가지정기록물  [상세정보 보기]

    • 2013년, ‘사회복지법인  나눔의 집’에서  소장하고  있는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물  3,060점을  국가 지정기록물  제8호로  지정

    • 2014년,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의 940점을 국가지정기록물 제8-1호, 김선현  소장  기록물 125점을 국가지정기록물 제8-2호로 지정

    • 국가지정기록물은 현재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기 어려우며, 열럼 및 활용을 위해서는 국가기록원 열람실에 문의해야 한다.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http://archive.history.go.kr)의 국외사료

  • 사료군 AUS043(Record Group 554: Records of General Headquarters, Far East Command, Supreme Commander Allied Powers, and United Nations Command, 1945 – 1960) > 사료계열 AUS043_57 (EC, SCAP, UNC[Entry A1 143])  [바로가기]

    • 미국 NARA의 Record Group 554를 발굴.수집하여 NARA의 정리질서 그대로 서비스제공 하고 있다.

    • 일본군 ‘위안부’ 전쟁범죄 자료집 5권으로 정리하여 출판되었다. 남서태평양지역 총사령부 연합군번역통역부(ATIS) 문서 1-3, 동남아시아사령부(SEAC) 문서, 동남아시아번역심문센터(SEATIC) 문서 [바로가기]

       

  • 사료군 AJP054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 자료관(WAM, women's active museum on war and peace) 소장자료  [바로가기]

    • 아시아 각국의 일본군 성폭력 피해자 초상화, ‘여성국제전범법정’의 개요 패널, 일본군 위안소 지도 등 상설전시, 일본군 ‘위안부 ’ 문제 특별전 개최, 세미나?심포지엄 개최, ‘위안부 ’ 문제 조사?출판, 일본 국내외 지원단체와의 연대행동 등과 관련된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 사료군 AJP031 在日外國人敎育生活相談센터 信愛塾(신아이쥬쿠) 소장 자료  [바로가기]

    • 재일 외국인과 일본인의 공생사회 건설을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재일 한인의 인권, 민족정체성, 교육 등 제반 문제와 민족차별 철폐운동 등 실천운동, 일본군 위안부  등에 대한 각종 자료가 망라되어 있다.

       

  • 사료군 AJP002 琴秉洞文庫  [바로가기]

    • 고 금병동(琴秉洞, 1927~2008) 선생이 한일합병, 관동대지진,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 재일 조선인문제 등 근현대 한일관계사 연구를 하면서 수집한 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 사료군 AJP0001 가와사키시 후레아이관(川崎市 ふれあい館) 소장 재일 한인 자료 [바로가기]

    • 1988년에 설립된 가와사키시의 사회교육 시설 및 커뮤니티 센터로써, 재일 코리언의 역사, 생활사, 靑丘社, 국적조항 차별철폐투쟁, 민족차별과 투쟁하는 연락협의회(민투련), 지문날인 거부투쟁, 민족명 되살리기 모임, 전후보상, 일본군 위안부, 관동대지진, 민족교육, 다문화 공생, 대한기독교회 등 관련 기록이 망라되어 있다.


여성가족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 자료관 운영  [바로가기]

    • 증언자료, 문헌자료, 시청각자료, 피해자 할머니들의 작품 등이 소개되어 있다.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정보 제공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운동의 연표, 기림의날 제정과 운영 등에 관한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성평등아카이브

  • C-F-05 일본군위안부 관련자료 컬렉션 [바로가기]

    • 국내외에서 수집한 일본군 ‘위안부’ 관련 기록 399건을 확인할 수 있다.

  • 컬렉션에 속한 기록이 모두 디지털화 되어 있어 온라인 열람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7. 추가로 읽을 자료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 국제심포지엄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 재현과 증언의 확산 : 어떻게 기억하고 기릴 것인가 (2019년 3월)> 자료집 

  • 이나영, 2017, “일본군 ‘위안부’ 운동 다시 보기: 문화적 트라우마 극복과 공감된 청중의 확산”, 《사회와 역사》, 115. Pp.65-103.

  • 임지현, 2019, 『기억 전쟁: 가해자는 어떻게 희생자가 되었는가』, 서울: 휴머니스트.

  • 장수희, 2016, “비명의 도착할 때: 을 둘러싼 각축전과 말 없는 비명”, 《여/성이론》, 34, Pp.226-336.

  • 조윤수, 2019,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1990년대 한·일 관계”, 동북아역사재단 일본군위안부연구센터,『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일본의 역사수정정책』,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1, 『2000년 일본군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보고서』, 서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 이용 및 접근환경

  • 온라인 열람: 전체 

  • 복제 서비스: 부분제공

  • 열람실: 원문파일 확인 가능

 

| 이가이드에서 언급된 소장기록

  • [시리즈] RG7-SR10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영상, 1944~1945

  • [시리즈] RG7-SR9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사진, 1939~1958

  • [시리즈] RG7-SR8 일본군 ‘위안부’ 관련 수집문서, 1941~1961

 

| 이가이드와 관련 있는 조사연구가이드

  • G440 둔촌주공아파트 기록 컬렉션

  • G439 서울시 시정사진 컬렉션

| 관리정보

  • 최초작성: 2019년 12월